지자체 또는 기초자치단체는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다양한 복지 정책, 지원금 등을 지급합니다. 혜택을 받기 위해선 잘 알 고 있어야 겠죠. 2025년 기준 중위 소득 100% 표로 준비 했습니다.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와 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값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중위소득은 통계적 정의로 대한민국 국민의 총 가구의 월 세전 소득을 조사하여 오름 차순으로 배열했을때 정확히 중앙에 있는 값을 말하는데요. 기준 중위소득은 중위소득 100%와 같은 말입니다.
최저임금 향상 등으로 매년 소득이 증가하게 되는데요. 이에 따라 기준 중위소득도 매년 변화하고 있습니다.
가구 수에 따라 중위소득 금액이 다르며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위소득 100%
구분 | 중위소득 100% |
1인 가구 | 2.392,013원 |
2인 가구 | 3,932,658원 |
3인 가구 | 5,025,353원 |
4인 가구 | 6,097,773원 |
5인 가구 | 7,108,192원 |
6인 가구 | 8,064,805원 |
7인 가구 | 8,988,428원 |
8인 가구 | 9,921,051원 |
9인 가구 | 10,853,674원 |
10인 이상 | +932,623원 |
기준 중위소득은 세전 소득으로 계산합니다. 가구는 세대주를 포함한 가구원 전체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4인 가구는 해당 가구를 구성하는 인원이 4명이라는 뜻입니다.
4인 가구는 4명이 모두 일을 할 수도 있고 1명만 일을 할수도 있죠. 중위소득은 누가 몇명이 일하는지와 상관 없이 4명의 총 소득을 말합니다. 참고로 4인가구의 중위소득 50%는 3,048,887원, 150%는 9,146,660원입니다.
퍼센트별 자세한 금액은 중위소득 2025년 기준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경제 용어
중위소득 100%에 관해 설명해드렸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 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글로 찾아올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중위소득 2025년 기준 퍼센트 가구별 정책
정부와 전국의 지자체, 기초자치단체는 중위소득에 따라 복지,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요.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변경됩니다. 2025년 중위소득 기준과 퍼센트별 정책 확인해 보세요. 중위소
nojisikin.tistory.com
업종코드 조회│한국표준산업분류 업종분류
입력해야 하는 업종코드는 5자리 숫자인가요? 6자리 숫자인가요? 한국표준산업분류, 국세청 업종분류에 따라 업종 코드조회하는 방법 안내해 드릴게요. 업종코드 조회사업자 신고를 하거나
nojisikin.tistory.com
신용등급 무료 조회 가능한 곳
우리나라 개인 신용평가사는 세군데 있어요. 가장 많이 알고 있는 나이스 평가정보, 올크레딧, SCI평가정보인데요. 신용도 조회가 필요한 분들을 위해 신용등급 무료 조회 가능한 곳을 알려드리
nojisikin.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종코드 조회│통계청 국세청 사업자 업종별 코드 (0) | 2025.04.01 |
---|---|
중위소득 2025년 기준 퍼센트 가구별 정책 (0) | 2025.01.31 |
업종코드 조회│한국표준산업분류 업종분류 (0) | 2025.01.24 |
신용등급 무료 조회 가능한 곳 (0) | 2024.11.10 |
중국 헝다그룹 스토리 파산 위기 (0) | 2021.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