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 2025. 1. 31. 18:10

중위소득 2025년 기준 퍼센트 가구별 정책

정부와 전국의 지자체, 기초자치단체는 중위소득에 따라 복지,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요.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변경됩니다. 2025년 중위소득 기준과 퍼센트별 정책 확인해 보세요.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 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윗값을 말합니다. 가구별 소득에 따라 정책 사업등으로 활용되기도 하는데요. 퍼센트별 중위소득 금액 준비했습니다.

  • 32%
  • 40%
  • 45%
  • 48%
  • 50%
  • 60%
  • 65%
  • 70%
  • 72%
  • 75%
  • 80%
  • 85%
  • 100%
  • 150%
  • 180%
  • 190%
  • 200%
  • 250%
  • 300%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의 경상소득(근로, 사업, 재산, 이전 등)을 내림차순으로 정렬 한 뒤 정확히 중간 값을 말하며 기준 중위소득 또는 중위소득 100%라고 표현합니다.

 

100%을 제외한 나머지 퍼센트는 기준 중위소득에 해당 숫자를 곱해 결과를 계산하게 됩니다.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급여와 지자체, 기초자치단체 별 복지(지원금, 혜택 등)에 따른 중위소득 안내 해드릴게요.

 

 

중위소득 32%

구분 중위소득 32%
1인 가구 765,444
2인 가구 1,258,451
3인 가구 1,608,113
4인 가구 1,951,287
5인 가구 2,274,621
6인 가구 2,580,738
7인 가구 2,876,297
8인 가구 3,174,736

기준 중위소득 32% 이하인 가구는 생계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 40%

구분 중위소득 40%
1인 가구 956,805
2인 가구 1,573,063
3인 가구 2,010,141
4인 가구 2,439,109
5인 가구 2,843,277
6인 가구 3,225,922
7인 가구 3,595,371
8인 가구 3,968,420

기준 중위소득 40% 이하 가구는 의료급여를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의료급여 안내 페이지를 확인하세요.

 

 

 

중위소득 45%

구분 중위소득 45%
1인 가구 1,076,406
2인 가구 1,769,696
3인 가구 2,261,409
4인 가구 2,743,998
5인 가구 3,198,686
6인 가구 3,629,162
7인 가구 4,044,793
8인 가구 4,464,473

주거급여 지원 기준은 중위소득 48% 이지만, 지자체에 따라 45%에서 46%인 경우도 있습니다. 거주하는 지역의 기준을 확인해 보세요.

 

 

 

중위소득 48%

구분 중위소득 48%
1인 가구 1,148,166
2인 가구 1,887,676
3인 가구 2,412,169
4인 가구 2,926,931
5인 가구 3,411,932
6인 가구 3,871,106
7인 가구 4,314,445
8인 가구 4,762,104

중위소득 48%는 주거급여 지원 대상입니다.

 

 

중위소득 50%

구분 중위소득 50%
1인 가구 1,196,007
2인 가구 1,966,329
3인 가구 2,512,677
4인 가구 3,048,887
5인 가구 3,554,096
6인 가구 4,032,403
7인 가구 4,494,214
8인 가구 4,960,526

교육급여 선정 기준은 중위소득 50%입니다.

 

 

 

중위소득 60%

구분 중위소득 60%
1인 가구 1,435,208
2인 가구 2,359,595
3인 가구 3,015,212
4인 가구 3,658,664
5인 가구 4,264,915
6인 가구 4,838,883
7인 가구 5,393,057
8인 가구 5,952,631
◎ 강동구 중위소득 60% 이하 가구 결식아동 지원
◎ 제주도 중위소득 60% 청년 월세 지원

 

 

 

중위소득 65%

구분 중위소득 65%
1인 가구 1,554,808
2인 가구 2,556,228
3인 가구 3,266,479
4인 가구 3,963,552
5인 가구 4,620,325
6인 가구 5,242,123
7인 가구 5,842,478
8인 가구 6,448,683
◎ 인천시 중위소득 65% 이하 다문화, 한부모 가족 등 산후조리비 지원
◎ 진주시 중위소득 65% 이하 청소년 한부모 지원금 확대

 

 

 

 

중위소득 70%

구분 중위소득 70%
1인 가구 1,674,409
2인 가구 2,752,861
3인 가구 3,517,747
4인 가구 4,268,441
5인 가구 4,975,734
6인 가구 5,645,364
7인 가구 6,291,900
8인 가구 6,944,736
◎ 울산 동구 중위소득 70% 이하 공공 일자리 모집
◎ 동대문구 중위소득 100% 다자녀가구 보일러 교체 지원

 

 

 

중위소득 72%

구분 중위소득 72%
1인 가구 1,722,249
2인 가구 2,831,514
3인 가구 3,618,254
4인 가구 4,390,397
5인 가구 5,117,898
6인 가구 5,806,660
7인 가구 6,471,668
8인 가구 7,143,157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중위소득 72% 이하 청소년 한부모 양육비 지원

 

 

 

 

중위소득 75%

구분 중위소득 75%
1인 가구 1,794,010
2인 가구 2,949,494
3인 가구 3,769,015
4인 가구 4,573,330
5인 가구 5,331,144
6인 가구 6,048,604
7인 가구 6,741,321
8인 가구 7,440,788
◎ 강남구 중위소득 75% 이하 가구 아이 돌봄 비용 지원
◎ 밀양시 중위소득 75% 이하 긴급복지지원 시행

 

 

 

 

중위소득 80%

구분 중위소득 80%
1인 가구 1,913,610
2인 가구 3,146,126
3인 가구 4,020,282
4인 가구 4,878,218
5인 가구 5,686,554
6인 가구 6,451,844
7인 가구 7,190,742
8인 가구 7,936,841
◎ 마포구 중위소득 80% 이하 영양플러스 사업 지원
◎ 대전시 중위소득 80% 이하에서 이상으로 지역사회통합 돌봄 확대

 

 

 

 

중위소득 85%

구분 중위소득 85%
1인 가구 2,033,211
2인 가구 3,342,759
3인 가구 4,271,550
4인 가구 5,183,107
5인 가구 6,041,963
6인 가구 6,855,084
7인 가구 7,640,164
8인 가구 8,432,893
◎ 전라북도 전북형 복지정책 중위소득 85% 이하로 완화

 

 

 

중위소득 100%

구분 중위소득 100%
1인 가구 2,392,013
2인 가구 3,932,658
3인 가구 5,025,353
4인 가구 6,097,773
5인 가구 7,108,192
6인 가구 8,064,805
7인 가구 8,988,428
8인 가구 9,921,051
◎ 서울시 중위소득 100% 이하 다자녀가구 친환경 보일러 교체 지원
◎ 중위소득 100%이하 학자금 대출 소득 올리기 전까지 이자 면제

 

 

 

 

중위소득 120%

구분 중위소득 120%
1인 가구 2,870,416
2인 가구 4,719,190
3인 가구 6,030,424
4인 가구 7,317,328
5인 가구 8,529,830
6인 가구 9,677,766
7인 가구 10,786,114
8인 가구 11,905,261
◎ 희귀 질환 의료비 지원 대상 중위소득 120% 미만에서 140%로 완화 
◎ 남양주시 치매감별검사비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에서 소득 제한 폐지

 

 

 

 

중위소득 150%

구분 중위소득 150%
1인 가구 3,588,020
2인 가구 5,898,987
3인 가구 7,538,030
4인 가구 9,146,660
5인 가구 10,662,288
6인 가구 12,097,208
7인 가구 13,482,642
8인 가구 14,881,577
◎ 서울시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대상으로 신혼부부 결혼 살림 비용 지원 예정
◎ 인천 동구 중위소득 150%이하 전입신고 시 이사비 지원

 

 

 

 

중위소득 180%

구분 중위소득 180%
1인 가구 4,305,623
2인 가구 7,078,784
3인 가구 9,045,635
4인 가구 10,975,991
5인 가구 12,794,746
6인 가구 14,516,649
7인 가구 16,179,170
8인 가구 17,857,892
◎ 충청북도 중위소득 180% 이하 주택 대출 이자 지원
◎ 서울시 중위소득 180%이하 전월세 이자 지원

 

 

 

중위소득 190%

구분 중위소득 190%
1인 가구 4,544,825
2인 가구 7,472,050
3인 가구 9,548,171
4인 가구 11,585,769
5인 가구 13,505,565
6인 가구 15,323,130
7인 가구 17,078,013
8인 가구 18,849,997

 

 

 

중위소득 200%

구분 중위소득 200%
1인 가구 4,784,026
2인 가구 7,865,316
3인 가구 10,050,706
4인 가구 12,195,546
5인 가구 14,216,384
6인 가구 16,129,610
7인 가구 17,976,856
8인 가구 19,842,102
◎ 아이 돌봄 서비스 중위소득 200% 이하까지 상향

 

 

 

 

중위소득 250%

구분 중위소득 250%
1인 가구 5,980,033
2인 가구 9,831,645
3인 가구 12,563,383
4인 가구 15,244,433
5인 가구 17,770,480
6인 가구 20,162,013
7인 가구 22,471,070
8인 가구 24,802,628
◎ 청년도약계좌 중위소득 250%로 완화

 

 

 

 

중위소득 300%

구분 중위소득 300%
1인 가구 7,176,039
2인 가구 11,797,974
3인 가구 15,076,059
4인 가구 18,293,319
5인 가구 21,324,576
6인 가구 24,194,415
7인 가구 26,965,284
8인 가구 29,763,153
◎ 국가장학금 중위소득 300% 이하 신청

 

 

 

경제 용어

기준 중위소득 32%에서 300%까지 가구원수별 기준 금액을 알려드렸는데요. 중위소득은 세전 급여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 중에 제외되는 부분도 있어 개인이 정확히 알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100% 이하 또는 생계, 주거, 교육, 의료 급여 등은 자산에 대한 기준도 있기 때문에 꼭 문의하고 신청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