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을 준비하고 있는데 환전 우대 뜻과 수수료 그리고 우대율이 뭔지 잘 모르겠다면 꼭 읽어보세요. 7분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환전 우대에 대해 안내해드릴게요.
환전 우대
환율이란 우리나라 통화인 원화와 외국 통화의 교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 말은 외국 통화의 한 단위를 사기 위해 원화를 얼마나 지불해야 하는지를 말하는데요. 서로 다른 나라의 돈은 사거나 팔 때, 송금하거나 받을 때마다 수수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수수료를 스프레드(Spread)라고 하는데요. 환전 우대란 기준환율과 외화를 사고팔 때 발생하는 스프레드의 가격 차이를 줄여둔다는 것으로 수수료를 할인해 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달러로 예를 들어 볼게요. 현재 환율이 1,400원이고, 여행을 위해 500달러를 환전하려고 합니다.
구분 | 기준환율 | 현찰살때 |
1달러 | 1,400원 | 1,424.5원 |
500달러 | 700,000원 | 712,250원 |
수수료 | - | 12,250원 |
우리가 검색창에 달러라고 입력하면 달러 환율이 나오죠. 그 가격을 "기준환율"이라고 해요. 우리가 여행 가기 위해선 "현찰 살 때" 가격을 봐야 합니다. 달러처럼 많이 사용되는 화폐는 스프레드가 1.75%에요. 500달러를 환전하면 12,250원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는 거예요.
어떻게 보면 얼마 안 되는 돈이지만, 달러를 사용하는 나라가 아니라면 현지에서 또다시 환전을 해야 하잖아요. 그러니까 우린 이 수수료를 할인받아야 해요. 우대율에 따라 이렇게 변해요. 500달러 기준입니다.
우대율 | 내야 할 수수료 | 할인 받은 금액 |
100% | 0원 | 12,250원 |
90% | 1,225원 | 11,025원 |
80% | 2,450원 | 9,800원 |
70% | 3,675원 | 8,575원 |
환전우대 100%라는 말은 수수료를 전액 면제해 준다는 뜻이고 90%는 90%를 할인해준다는 뜻이에요. 이제 환전 우대에 대해 이해되셨죠.
그럼 이제 어느 은행이 가장 우대율이 높은지 알아볼 차례입니다.
환전 우대율
은행 | 우대율 | 조건 |
국민은행 | 90% | - |
농협은행 | 50-90% | 환전금액, 앱 사용 등 |
신한은행 | 50-90% | 환전금액, 인터넷 뱅킹 실적 여부 등 |
우리은행 | 50-90% | 환전금액, 앱 사용 여부 등 |
제일은행 | 30-80% | 앱 사용 등 |
하나은행 | 50-90% | 앱 사용 등 |
달러 환전 우대율입니다. 은행마다 조건이 다르고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작성일 기준(2025년 1월)으론 국민은행이 다른 실적 여부와 관계없기 때문에 가장 유리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이 표는 각 은행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찾은 게 아니에요. 은행연합회 외환길라잡이라는 공식 사이트가 있는데요. 변화가 있을 때마다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여러 은행을 거래하는 분들이라면 여기에서 찾아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자, 그런데요. 중요한 건 우대율이 아니라 스프레드(환전 수수료)에요.
우대율만 보고 환전하면 큰 손해를 볼 수도 있어요.
환전 수수료
통화 | 수수료 | 우대율 |
미국 달러 | 1.75% | 50 - 90% |
일본 엔 | 1.75% | 50 - 90% |
유럽 유로 | 2% | 50 - 80% |
영국 파운드 | 2% | 30 - 70% |
캐나다 달러 | 2% | 30 - 50% |
호주 달러 | 2% | 30 - 50% |
싱가폴 달러 | 2% | 30 - 50% |
홍콩 달러 | 2% | 30 - 50% |
태국 바트 | 2 - 7% | 20 - 50% |
베트남 동 | 11 - 12% | 20 - 30% |
대만 달러 | 8 - 13% | 20 - 40% |
필리핀 페소 | 8 - 11% | 10 - 40% |
환전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를 스프레드라고 했잖아요. 스프레드는 미국 달러, 일본 엔,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 캐나다 달러, 싱가포르 달러 등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화폐의 경우 보통 1.75%이거나 많아도 2% 이내예요. 대신 우대율은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동남아 국가들은 현지에 가서 달러로 다시 환전하기도 하죠. 베트남 동, 태국 바트, 필리핀 페소 등도 국내에서 환전은 가능하지만 수수료가 5%-12%로 상당히 높아요.
그래서 미국 달러, 일본 엔화를 빼고 환전할 때는 우대율만 보면 안 되고, 수수료를 봐야 해요.
베트남으로 예를 들어볼까요? 계산하기 쉽게 수수료 10%, 우대율 50%로 생각해 볼게요.
원화를 달러 환전 우대를 받고 현지에서 동으로 환전하는 경우
◎현재 환율 1,430원/ 현찰 살 때 1455.02원
◎베트남 현지 100달러에 2,500,000동
자, 잘 보세요. 작성일 기준 최근 베트남 환전소는 100달러에 약 250만 동 정도예요. 환전 우대 없이 우리나라에서 100달러를 환전하면 145,502원입니다. 그런데 달러는 대부분 90%를 우대해주니 적용하면 143,250원 정도 되겠네요.
그럼 이번엔 동을 우리나라에서 구입해 볼게요. 250만 동을 구입하려면 162,690원이 필요해요. 50% 환전 우대를 받는다 하더라도 154,147원입니다.
차이가 많이 발생하죠. 100달러당 1만 원 정도 차이 나면, 500달러 일 땐 5만 원 정도를 손해를 보는 거예요.
금융 용어
환전 우대에 대한 글은 여기까지입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했는데 도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환전은 주로 은행에서 하지만 각 금융기관마다 특정 상품에 환전 100% 우대 등의 부가서비스 등을 걸어두기도 하거든요. 잘 찾아서 이용해 보세요.
<관련글>
◆메리츠 증권 슈퍼 365 계좌 환전 100% 우대
◆토스뱅크 외화통장 거래 한도 안내
적립식 예금 뜻과 종류│용어 해설
적립식 예금아마 이 글을 보는 분들은 대출 등과 관련해 우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조건 중에 적립식 예금 상품 가입이라는 것이 있을 것이라 생각해요. 적립식 예금의 뜻과 어떤 상품을 가입해
nojisikin.tistory.com
CMA 자산관리계좌 통장 뜻과 종류
자금을 늘리기 위해 은행 예금이나 적금을 통해 저축하는 방법도 있고 주식 또는 채권이나 기타 투자상품에 투자하는 방법도 있죠. 오늘은 CMA 통장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해요. CMACMA(Cash Manageme
nojisikin.tistory.com
퇴직연금 종류 IRP DC형 DB형
회사의 고용주는 퇴직금 또는 퇴직연금 제도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해 근로자에게 퇴직급여를 지급해야 합니다. 오늘은 퇴직연금 종류 IRP, DC형, DB형에 대해 준비했습니다. 퇴직연금퇴직연금 제
nojisikin.tistory.com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계좌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안내 (0) | 2025.02.10 |
---|---|
대환대출 뜻 대출 갈아타기 (0) | 2025.02.03 |
퇴직연금 종류 IRP DC형 DB형 (0) | 2024.12.17 |
IRP 뜻 개인형 퇴직연금 제도 안내 (0) | 2024.12.13 |
CMA 자산관리계좌 통장 뜻과 종류 (0) | 2024.11.20 |